아리스토텔레스 <니코마코스 윤리학>

2024. 4. 2. 17:13카테고리 없음

1. 동서양에서의 윤리의 어원

  • 서양 :  Ethics
  • 동양 : 윤 + 리

 

2. 윤리학이란?

  • 도덕적 가치와 규범을 연구하는 학문
  • 인간의 행동과 사회적 관계
  • ‘삶 '에 대한 방향

 

3. 아리스토텔레스의 '니코마코스 윤리학'

  • 니코마코스 : 아리스토텔레스의 아버지 이름
  • 후대 편집자들이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'니코마코스 윤리학'이라고 이름 붙임
  • 인간의 존재와 행복에 대해 열심히 설명한 책
  • 아주 세세하고 구체적으로 행복에 관해 논하고 있음
  • '인간이란 존재가 어떻게 하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인가'에 대한 해답을 찾는 책
  • 행복한 인생을 살기 위해서는 인간 존재의 내면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

 

4. 오늘날의 윤리학 : 미디어와 윤리 (Media Ethics)

  • 인터넷과 윤리의 중요성 : 우리가 가장 발빠르게 뉴스를 접하고 소통할 수 있는 곳이 미디어이기 때문에, 미디어의 윤리적인 측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. 미디어 안에서 행복을 누리기 위해서는 미디어 윤리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. 
  • 사이버 공간에서의 부작용 => 다중 정체성(Multi-identity) : 초등학생도 어른이 될 수 있고, 어른도 초등학생인 척 할 수 있음. 여자가 남자인척, 남자가 여자인척 할 수 있음. 본인이 익명성을 통해 온라인에서 열심히 활동을 하다 보면, 나중에는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게 되면서 죄책감을 느낄 수 없는 상태로 가기도 함. 

 

5. 아리스토텔레스

  • 아리스토텔레스 (Aristotle, 384 BC - 322 BC) : 플라톤의 제자, 플라톤의 철학을 계승. 
  • 서양 철학의 거장, 실증적 철학의 중심에 있음. 
  • 그리스의 ‘스타게이로스 (Stagira)’에서 태어남. 
  • 플라톤이 '아카데미아'라는 교육기관을 세웠듯이, 아리스토텔레스도 ‘리케이온(Lykeion)’이라는 학교 설립

 

6. 시대적 배경

  • 알렉산더 (Alexander) 대왕의 시대
  • 헬레니즘 (Hellenism) : 그리스 문화가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퍼져나가던 시기
  • 그리스 문화의 특징 
    • 휴머니즘을 강조 : 인간의 가치에 대해서 논하는 것을 휴머니즘이라고 하는데, 휴머니즘을 강조했다는 것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인간의 존재를 귀히 여기고 자연을 사랑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음
    • 폴리스 (Polis) : '폴리스'는 성벽을 중심으로 형성된 '도시국가'를 지칭하는 단어로, 고대 그리스는 '아고라'광장에서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며 '시민공동체' 문화가 굉장히 발달함. 

 

7.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(eudaimonia)

  • 인간의 행위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목적
  • 품성상태와 덕
  • 행복은 좋은 삶의 특징
  • 좋음의 이데아

 

8. 좋음을 구별하는 기준 : 완전성 & 자족성

“인간의 모든 행위는 (행복하고자 하는) 목적을 가지고 있다.”

  • 완전성: 가장 완전한 목적
  • 자족성: 자족적인 선, 자족적인 목적

 

9. 행복과 탁월성

  • 인간의 고유한 기능과 행복
  • 덕/탁월함에 일치하는 삶 
  • 지적탁월성(지식, 지적탁월성이 커질수록 좋음) & 성격적 탁월성(성품, 도덕적 가치, 용기, 절제력 등 좋음과 나쁨을 둘 다 가지고 있음) -> 지적탁월성과 성격적 탁월성이 균형을 이루어야 함
  • 탐구와 관조의 삶 : 외적인 것을 필요치 않아하는 삶으로, 내면을 다스리고 내면의 성장을 위해서 사는 삶으로, 절제와 지혜가 필요
  • 인간의 행복 = 일종의 즐거움

 

10. 중용의 원리

  • 바른 도리를 지키는 것
  • 균형을 유지하려는 것
  • 현명하고 타당한 판단과 결정을 내리는 것
  • 중용 = 탁월성의 일부